1. 기간
2021.01.11 - 2021.01.13
2. 프로젝트 명
BOvOK (도서 검색 웹 사이트), 이름엔 별 의미가 없다. 내가 귀여운 걸 좋아해서 어떻게 하면 귀여울 수 있을까 .. ! 하며 고민을 하다가 귀여운 입 모양을 중간에 넣어보자 해서 저렇게 귀여운 프로젝트 명이 탄생했다.
3. 설명
메인 화면에서 검색 하고 싶은 책 제목이나 저자, 출판사 등을 입력하면 입력 결과와 가장 유사한 책 한 권의 정보를 불러온다.
4. 기술 스택
5. 역할
CSS, 호스팅
6. 이슈
수업 시간에 했던 Kakao 지도 api 는 상세하게 설명이 나와있어서 비교적 개발하기 수월했지만 그에 비해 검색 api 는 설명이 자세하지 않아서 api 를 콘솔 창에 찍어내고, 그 결과를 또 한 번 화면에 보이게 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들었다.
7. 느낀점
3일이라는 매우 짧은 시간동안 기획을 제외한다면 개발은 이틀 정도 했다. 해커톤에 참여한 기분이였다 ㅎㅎ. 프로젝트 진행 중 선생님의 도움을 받은건 API KEY 를 불러올 때 뿐이였고 거의 모든 것을 팀원들끼리 고생해서 하나의 프로젝트를 완성 했다는 사실에 매우 뿌듯했다. 역할 분배도 적절했고 지영이와 나는 새벽 6시까지, 인성이는 4시 30분까지 깨어있으면서 엄청난 삽질과 고생이 있었기에 완성한 프로젝트가 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. 사실 이 프로젝트 하면서 학교 다니면서 처음으로 개발 때문에 해 뜨는걸 보고 잤다.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(물론 지영이와 인성이가 했지만) api 를 호출하고 이를 가시화 하기 위해 수많은 구글링을 하고 코드를 썼다가 지우길 반복하였으나 내가 직접 하지 못했다는 것이다. 더 공부해서 다음엔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.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api 가 무엇이고 api 를 사용하면 수많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쉽게 제공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. 나중에 또 다른 프로젝트를 하게 될 일이 있다면 꼭 다시 api 를 사용할 것이다. api 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사이트도 몇 개 새로 알게 되어서 그런 것들을 잘 사용하면 더 완성도 높은 웹 페이지를 개발 할 수 있을 것 같다.
8. 보완하고 싶은 점
디자인 부분이 아쉽다. 아무래도 ㅎㅎ 외관상으로 예쁜 것 같지 않다. 또 검색을 했을 때 책이 한 권만 뜨게 구현하였는데 보여주는 책 수를 더 늘려서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싶다. 마지막으로 다른 api 를 추가적으로 사용해 더욱 더 완벽한 웹 페이지를 만든다면 더 좋을 것 같다.